부산교육대학교 교육실습 개요
- ‘사랑, 슬기, 봉사’의 대학 교육이념을 실현하며, 예비교사의 현장 역량 강화를 위해 다양한 주제의 테마형 교육실습을 운영합니다.
- 2학년 1학기부터 4학년 1학기까지 총 5개 학기에 걸쳐 교육실습을 분산 실시하여,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실습 경험을 제공합니다.
- AI 시대를 선도하는 교육 실현을 위해, AI 디지털 테마형 교육실습을 필수적으로 운영하여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AI 디지털 수업 현장성을 강화합니다.
학년·학기 | 교육실습명 | 기간 | 학점 | 평가 | 실습학교 |
---|---|---|---|---|---|
2학년 1학기 | 교육실습 I (관찰) | 1주 | P/F | 절대평가 | 부설초·협력초 |
2학년 2학기 | 교육실습 II (참가) | 2주 | 1학점 | 절대평가 | 부설초·협력초 |
3학년 1학기 | 교육실습 III (수업I) | 2주 | 1학점 | 절대평가 | 부설초·협력초·필리핀 한국국제학교 |
3학년 2학기 | 교육실습 IV (수업II) | 2주 | 1학점 | 절대평가 | 부설초·협력초·필리핀 한국국제학교 |
4학년 1학기 | 교육실습 V (실무) | 2주 | 1학점 | 절대평가 | 부설초·협력초 |
부산교육대학교 교육실습 운영
1. 교육실습 전
- 현장교사 대상: 교육실습 사전 연수(교육연수원 주관, 1월) 및 교육실습 사전교육(대학 주관, 2월 말) 실시
- 협력 초등학교 부장교사 대상: 부산교대 교육실습 교육자문단 위촉(2월말)
- 예비교원 대상: 교육실습 유형별 오리엔테이션 운영
2. 교육실습 중
- 수업지도안 검토 및 피드백
- 학과별 교수 및 총장단의 실습학교 방문
- 현장교사와 예비교원의 AI 디지털 역량 강화 테마형 교육실습 프로그램 필수 참여
3. 교육실습 후
- 평가 실시: 교육실습생 평가, 프로그램 평가, 운영만족도 평가
- 사후 협의회: 교육실습 사후 폅의회 및 교육자문단 간담회(7월, 12월) 개최
- 성과 공유: 교육실습 체험수기 공모 및 사후 평가 보고서 작성